티스토리 뷰

2024년 출산지원금의 잘못된 정보가 많아서 제가 직접 출산지원금, 첫만남이용권, 부모급여, 아동수당, 양육수당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직접 알아보고 정리했으니 이것만 확인하세요.
더불어 2023년 출생아와 2024년의 출생아의 지원 금액이 다르니 정확하게 확인하세요.

 

 

출산지원금

출산해서 정부에서 지원하는 지원금으로는 첫만남이용권과 아동수당, 부모급여가 있습니다. 여러 블로그에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양육수당에 대한 내용도 정리하였습니다. 정부에서 주는 지원금 외에 각 지역별 출산지원금은 별도로 제공됩니다.

정부 지원 출산지원금 지역별 출산지원금
첫만남이용권
아동수당
부모급여
양육수당
지역별로 출산지원금의 금액과 시기가 다름

 

최대 1000만원까지의 혜택이 제공되는 지역별 출산지원금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출산지원금
홈페이지>출산>출산지원금

 

 

첫만남이용권

출산지원금

첫만남 이용권이란 정부에서 지원하는 출생아 당 1회 받는 지원금을 말합니다. 첫만남이용권은 1인 200만원씩 바우처 형식으로 지급됩니다. 200만원의 바우처가 들어있는 카드를 통해 1년 이내에 마트나 산후조리원, 병원, 온라인, 카페 등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산용품 구매를 위해 바우처 사용처를 미리 확인하세요.

출산지원금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첫만남이용권을 신청하시고 200만원을 받으세요.

출산지원금
홈페이지>서비스신청

 

부모급여

부모급여는 기존에 있던 '영아수당'이 바뀐 말입니다. 부모급여는 가정보육이나 보육시설의 이용에 관계없이 만 0세에서 만1세의 아동(2세 미만)에게 주는 지원금입니다.

 

2023년에 출생한 아동은 만0세에 월 70만원, 만1세에 월 35만원씩 받을 수 있습니다.

2024년에 출생한 아동은 만0세에 월 100만원, 만1세에 월 50만원씩 받을 수 있습니다.

자녀가 어린이집에 다니지 않을 경우에는 현금으로 지급되며, 어린이집에 다닐 경우에는 시설 이용료로 바우처로 지급되고 차액은 현금으로 지급됩니다. 만 1세의 경우 지원금이 적기 때문에 부모에게 따로 지급되는 부모 급여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보육료를 50만원 가량입니다.

 

양육수당

양육수당에 대한 잘못된 정보가 많아 제대로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알아보고 정리했습니다. 양육수당은 부모급여 제도가 생기면서 변동되었습니다.

 

2022년 이후의 출생아는 만0세~1세(2세 미만)에 양육수당 대신 부모급여를 지급합니다. 이후 만2세부터 86개월 미만까지는 가정양육수당으로 10만원씩 지급됩니다. 

 

아동수당

아동수당이란,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만 8세 미만의 아동(0~95개월)에게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아동수당은 중복수령이 가능하며 월 10만원의 아동수당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모두 수령하면 총 960만원입니다.

 

총정리

  첫만남이용권 지역별 출산지원금 부모급여 양육수당 아동수당
출생 시 200만원 각 지역별로 상이

(지역별 출산지원금)
- - -
만 0세  - 2023년 생 월 70만원
2024년 생 월 100만원
- 월 10만원
만 1세 - 2023년 생 월 35만원
2024년 생 월 50만원
- 월 10만원
만2세
~95개월
- - 가정양육 시
85개월까지
월 10만원
월 10만원

 

저도 출산을 준비하면서 금액을 알아보아야 할 것 같아서 정리했습니다.

다음에는 출산지원금을 신청하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산지원금출산지원금출산지원금
출산지원금출산지원금출산지원금
출산지원금출산지원금출산지원금
출산지원금출산지원금출산지원금
출산지원금출산지원금출산지원금
출산지원금출산지원금출산지원금